“내 소유의 홈페이지 사이트 만들기” 전체 설치 과정에서 이 글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.
-> -> -> -> -> -> -> -> -> -> -> -> -> -> -> -> -> -> ->
작성한 인스턴스 확인
지금까지 수고한 보람을 느끼며 좌측메뉴[인스턴스]>[인스턴스]를 클릭합니다.
(AWS환경) 아마존 웹 서비스 EC2 가상머신 구축 에서 작성한 인스턴스를 일람표시합니다.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3/EC2_23.png)
브라우저기반 SSH연결
3번째 연결방법을 이용하여 접속을 시도 해보았습니다.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3/EC2_24.png)
어떤 문제인지 원인은 모르겠지만 접속에러가 발생합니다.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4/EC2_24_2.png)
어쩔 수 없이 puTTY를 사용합니다. 다운로드 해야함.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3/EC2_25.png)
Putty다운로드
로컬PC에 다운로드한 압축파일을 압축 해제해줍니다.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4/EC2_26.png)
PUTTYGEN는 Public/Private 키 페어를 만들거나 만들어진 키페어를 읽어서 public key 또는 private key를 분리 저장할 수있는 툴 입니다.
여기서는 이전 단계에서 저장한 key_sample.pem 파일을 읽어서 private key로 저장 하겠습니다.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4/EC2_27.png)
키 페어 파일 선택
이전에 다운로드 받은 키페어 파일(.pem)을 선택합니다.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4/EC2_28.png)
키 페어 로드 확인
PEM포맷의private Key를 로드했다는 메세지가 표시됩니다.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4/EC2_29.png)
로드 결과 화면
로드된 키 페어의 결과화면입니다. key passphrase 입력창과 Comfirm passphrase 입력 창에 패스워드를 지정할 수있습니다. private key를 저장할 때는 패스워드를 지정해서 보안에 좀 더 신경 쓸 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4/EC2_30.png)
패스워드를 지정하지 않아 Private Key 저장 시 경고 확인
private key파일이 제3자에 누출될 염려가 없다면 패스워드를 지정하지 않아도 됩니다.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4/EC2_31.png)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4/EC2_31_1.png)
Pagent실행
putty의 pageant.exe를 기동시켜 Pageant Key List 창을 띄웁니다. 창이 뜨지 않을 경우에는 오른쪽 하단의 작업표시줄 트레이 아이콘 목록에서 확인합니다.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4/EC2_32.png)
Pagent에 Private Key를 등록
서버에 등록된 Public Key의 페어 Private Key를 Pagent에 등록해 서버에 접속할 때마다 자동으로 인증을 대행해주도록 합니다.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4/EC2_33.png)
Pagent에 Private Key등록 결과
키가 추가된 것을 확인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4/EC2_34.png)
접속할 서버정보 등록
호스트명에 AWS로부터 발급 받은 퍼블릭 DNS(IPv4)를 입력하고 저장 버튼 클릭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4/EC2_35.png)
서버 접속 경고
로컬PC에 서버의 host key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경고와 서버를 신뢰한다면 서버의 host key를 로컬PC에 저장하겠냐는 확인 메시지를 표시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4/EC2_36.png)
로그인
접속하기 위해 입력화면에 유저ID로써 centos를 입력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4/EC2_37.png)
AWS 웹 서비스 환경 구축 전체 목록
이 글은 AWS 웹 서비스 환경 작성을 위한 전체 절차의 한 부분입니다. 전체 목록은 다음을 참조하십시오.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3/10/noimage9x16-1-320x180.png)
다음 글
![](https://tech.zinnunkebi.com/wp-content/uploads/2023/10/noimage9x16-1-320x180.png)